콩팥병 진단
콩팥병의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서 본인에게 통증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병이 없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의사들은 간단한 검사를 통하여 콩팥병을 진단하게 됩니다.
소량의 피 검사를 통해서 피 속의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하게 됩니다.
혈액 속의 크레아티닌 농도는 정상인에게는 0.6~1.4mg/dL 정도이며, 콩팥기능이 나빠져서 노폐물의 배설기능이 감소하면 혈액 속의
크레아티닌 농도수치는 상승하게 됩니다. 이 수치는 나이와 성별의 따른 계산식에 대입하여 콩팥기능의 정도를 뜻하는 사구체여과율을
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만성콩팥병을 가진 환자는 담당의사 선생님께 자신의 콩팥기능 수치인 사구체여과율 수치를 알아두는
것이 콩팥병 관리에 중요합니다.
소변검사를 하게 되면 혈뇨와 단백뇨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일과성 단백뇨 :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온 후 소실되는 것으로 심한 운동 후나 열성 질환 등 스트레스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단백현상이
나타나는 단백뇨로 재검사시 거의 대부분 단백뇨는 소실되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
지속적 단백뇨 : 변검사에서 단백뇨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 콩팥 또는 콩판을 침범하는 전신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콩팥 조직 검사 및 혈액검사를 통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. 특히 단백뇨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통해 하루에 단백뇨가 얼마만큼 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단백뇨가 많이 나올수록 콩팥기능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커집니다.
지속적 단백뇨 : 변검사에서 단백뇨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로 콩팥 또는 콩판을 침범하는 전신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콩팥 조직 검사 및 혈액검사를 통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. 특히 단백뇨는 간단한 소변검사를 통해 하루에 단백뇨가 얼마만큼 나오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단백뇨가 많이 나올수록 콩팥기능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커집니다.
혈압의 측정 또한 콩팥병의 진단과 관리에 중요한 사항입니다.
사구체신염이나 당뇨병성 콩팥 합병증 등 기존의 콩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고혈압이 잘 방생하는데 이 경우에 혈압 조절이 되지 않으면
환자의 기존 콩팥질환이 더욱 빨리 나빠지게 됩니다. 고형압은 심혈관계질환의 중요한 발생 및 악화 인자이며 만성콩팥병 환자에게
심혈관계 질환의 동반도 흔하므로 이 또한 혈압의 측정 및 관리가 중요한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.